윈도우 개인정보 수집 항목, 기본 앱 삭제 스크립트 생성 사이트
재미있는 사이트를 하나 알게되어서 여러분에게 소개해드립니다. Windows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는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명목적으로는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우리는 그 말을 다 믿지 못하며 많은 사용자가 개인정보 수집 항목들을 알고나면 데이터 수집에 동의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런 부분이 싫어서 리눅스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지만 현실적으로 윈도우 없이 살 수 있는 사용자는 거의 없습니다.
윈도우의 개인정보 수집 항목 확인하고 기본 탑재되어있는 우리가 원치 않는 앱들을 삭제하고 싶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이 있고 내가 뭘 해야하는지 모르는 분들이 많고 하나하나 찾아서 하자니 시간과 노력이 너무 많이 들게되어 그냥 포기해버리게 됩니다.
각 항목들을 하나하나 설명해주고 우리가 체크박스를 선택 후 다운로드하면 내가 원치않는 개인정보 수집 옵션과 앱(블로트웨어)을 삭제할 수 있는 스크립트를 만들어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주의! : 윈도우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경험이 있으신 분들이 사용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자잘한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초보분들이 이것저것 disable 하셨다가 나중에 어떤 옵션 때문에 문제가 생긴건지 몰라서 오히려 불편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주소 : https://privacy.sexy
도메인이 조금 스팸 사이트 느낌이 나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윈도우 뿐 아니라 리눅스, macOS 설정도 다운로드 받아서 적용할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undergroundwires/privacy.sexy 오픈소스이며 안전합니다. 이 깃헙 링크에서 어떻게 작업이 수행되는지 투명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옵션을 켜고 끄는 단순 스크립트라 걱정하실 부분이 없습니다.
사용법

사이트에 들어가면 위와 같은 분류들이 보입니다. 화면 우측의 텍스트는 스크립트 내용인데, 내가 선택한 항목들을 추가할 때 마다 자동으로 스크립트 내용이 바뀝니다. 원하는 모든 옵션을 선택 후 다운로드 하시면 스크립트 실행 파일이 다운로드되는 방식입니다.
- Privacy Cleanup
- Disable OS data Collection
- Configure Programs
- Security Improvements
- Block Traking Hosts
- Privacy Over Security
- UI for Privacy
- Remove Bloatware
- Advanced Settings
각 항목을 누르면 세부 옵션이 나옵니다.
영문 사이트라고 겁먹지 마세요. 웹 브라우저 번역 기능을 사용하시면 거의 한글 사이트 처럼 쉽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원하시는 옵션을 하나씩 누르기만 하면 됩니다. 각 항목이 어떤 내용인지 궁금하시면 우측에 보이는 i 아이콘을 눌러보세요.

모든 항목에 대한 설명이 나오진 않지만 어느정도 중요항 항목들에 대한 설명은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것들이 숨어있음을 알게되는데 한번 읽어만 보셔도 상당히 재미있어요.
내가 액세스한 파일이나 응용 프로그램 기록, 최근 문서 목록 등을 비활성화 시키고, 윈도우 검색 데이터 수집 비활성화, 타겟 광고 및 마케팅 비활성화, 텍스트 및 필기 데이터 수집, 각종 원격 분석, 충돌 및 오류 보고, 윈도우가 내 동의 없이 설치해놓은 각종 쓸데없는 앱들(MSN, Xbox, 전화, Candy Crush, Shazam, Flipboard, Twitter, iHeart, Duolingo, Pandora, Spotify 등) 하나하나 찾아서 비활성화 시키거나 삭제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각 항목에 ‘>’ 표시가 있다면 꼭 눌러서 펼친 후 상세 항목들을 보고 선택하세요.

하나하나 고르기가 두렵거나 부담스러우신 초보분들은 스크립트 검색창 아래 보면 ‘표준’, ‘엄격한’, ‘모두’ 3개의 옵션이 있어요. 여기서 표준을 골라서 한번 사용해보세요.

번역 기능을 켜놓으면 이렇게 편하게 보실 수 있어요.
모두 선택하셨다면 저 아래 버튼 2개 보이시죠? 왼쪽이 Download 입니다.

privacy-script.bat 파일이 다운로드 되는데, ‘다운로드 할 수 없음 – 바이러스 감지됨’이라고 뜨기도하는데 걱정하지 마시고 Keep(유지) 버튼을 누른 후 실행하시면 되겠습니다.
만약 윈도우 디펜더가 삭제해버렸다면 격리 장소로 들어가서 ‘복원’하실 수 있습니다.
Desktop App
이 방식이 불편하시다면 데스크톱 전용 앱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셔도 됩니다. 사이트 하단 좌측을 보면 윈도우, 맥OS, 리눅스 링크가 각각 있습니다.

저는 앱 사용을 더 추천드립니다. 아래 버튼 3개가 다르죠? 옵션 선택후 1번 버튼 (Run)을 통해 바로 실행이 가능하고, 2번 버튼 Save를 통해 현재 내가 선택한 옵션들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bat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 나중에 일부 추가하려고 할 때 내가 그 전에 뭘 선택했는지 모르겠더라고요.

저는 호기심에 조금 더 많은 옵션을 선택했고, 혹시 몰라 복원 지점을 미리 만들어두었습니다.
복원 지점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privacy.sexy 사이트 검색창 하단에 보면 Revert가 보이시죠. 거기서 되돌리는 스크립트를 받으실 수도 있거든요. 저는 혹시 모를 귀찮아질 상황을 대비해 해두었습니다.

파일을 실행하면 내가 선택했던 항목을 비활성화시키고 쓸데없는 앱이 삭제됩니다.

NVIDIA Telemetry Client는 있는지도 몰랐던 앱이예요. 이렇게 삭제된 이후에 다시 하나씩 작업이 진행됩니다.
이게 끝이예요. 운영체제 개인정보 수집에 관해 관심 혹은 반감이 있으신 분들에게 흥미로운 장난감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추천하는 윈도우 앱 목록도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넷핵님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질문 내용과 맞는 글이 찾아봐도 없는것같아서 이글에 남겨서 이해부탁드립니다 ㅠ)
그 안드로이드 안티바이러스 백신 어플을 깔아서 사용할때 ” 모든 파일에 대한 접근 허용 ” 을 해야 전체적으로 보통 검사가 가능한데 모든파일 권한 허용을 눌러버리면 그앱의 관리자가 제가 한 활동같은것들을 맘만 먹으면 전부 들여다볼수있게 되는건가요? 예를들어 (사진첩 , 미디어, 검색기록, 앱활동기록 등 모든것) 전에 어베스트였나 그 백신앱에서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를 맘대로 팔고 그랬다고 들었는데 제가 사용하는 백신어플이 비트디펜더 무료버전 인데 혹시 이 어플도 그럴가능성이 있을까여
그래서 궁금한게
1. 모든 파일에 대한 접근 허용을 누르면 갤러리함, 앱활동기록 (인터넷 사용기록 등 모든 사용기록) 백신앱 관리자가 맘만 먹으면 폰에 모든걸 들여다 볼수있나요?
2. 모든 파일에 대한 접근 허용을 했다가 그 어플을 삭제하면 권한이 없어지면서 들여다 볼수 없게되는 건가요?
3. 혹시 백신어플을 삭제를 했어도 이미 한번이라도 모든 권한을 동의하고 사용한적이 있었으면 삭제를 했어도 제폰에 있는 데이터 기록이 그어플에 남아서 관리자가 그 데이터를 맘만 먹으면 제가 어플을 삭제한 이후에도 볼수가 있는걸까요?
4. 어베스트 백신앱은 사용자 개인정보를 함부로 들여다보고 팔고 했다는데 비트디펜더 무료버전 같은 경우에는 안심 할수 있는 어플일까요? 백신어플 자체가 프라이버시 때문에 쓰지말라는 말들이 많아서 걱정이 드네요
답변부탁드립니다
안티바이러스는 모든 파일을 검사해야 하기 때문에 그 권한이 맞습니다. 그렇지만 의사의 칼과 범죄자의 칼이 다르듯 믿을 수 있는 회사의 제품을 사용해야하겠죠.
그런데 말씀하신대로 Avast 사건 https://netxhack.com/news/avast-antivirus-sold-user-data/ 처럼 큰 회사도 무조건 신뢰하긴 어렵습니다.
개인적으로 스마트폰 백신은 아직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어서 단 한번도 사용해본적이 없습니다.
1. 백신 프로그램의 경우 모든 파일을 들여다 본다라는 개념보다는 검사를 위해 접근할 수 있다 라고 봐야 합니다.
2. 앱은 삭제하면 끝입니다.
3. 그정도의 걱정까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4. 비트디펜더도 꽤 유명한 회사로 신뢰성은 높은 편입니다. 다만 사기업을 완전히 믿을 순 없죠. 이건 구글, 마소, 애플 모두 마찬가지 입니다.
결론 : 저도 그렇지만 저의 가족들에게도 안티바이러스 앱을 따로 사용하라고 권하지 않습니다. 윈도우에서는 내장 기능은 윈도우 디펜더로 충분하구요.
아하 관련글이 한개 있었네요.. 그럼 혹시 그 앱을 삭제했으면 그 앱에 제 데이터가 남아 있을수도 있는건가요? 아니면 앱삭제를 하면 제 데이터가 남지않고 사라지는걸까요?
앱 삭제하면 기기내에서는 없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서비스 제공 회사에서 수집한 정보가 만약에 있다면 그 회사에는 남아있을거예요.
너무 좋네요 흥미로운 장난감입니다 ㅎㅎ
저도 글 쓰기전에 스크립트 한번 돌렸는데 기분은 뭔가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