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Privacy - Apps - Proton AI Lumo 짧은 사용기: 무료 버전 성능 비교 vs ChatGPT

Proton AI Lumo 짧은 사용기: 무료 버전 성능 비교 vs ChatGPT

목차

Proton AI Lumo

ProtonAI(프로톤AI) lumo
lumo by Proton

프로톤(Proton)에서 AI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이름은 Lumo이고 보라색 고양이가 마스코트인데 귀엽습니다. Lumo는 종단간 암호화, 무로그(No Logs) 정책, 사용자와의 대화 내용을 학습에 활용하지 않는 점이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Proton 브랜드 제품의 일관성, 그리고 타 서비스와의 차별성을 위해서 Privacy 친화적인 정책은 필수입니다.

프로톤AI 루모 발표는 개인적으로 많이 갑작스러웠어요. VPN 시장에서의 경쟁도 버거워 보이는데.. 갑자기 진입 장벽이 말도 안되게 높은 AI 시장에 뛰어든다고??

몇몇 회사에서 시도했던 ‘안전한 검색 엔진’이 떠올랐습니다.

예를 들면 Mullvad Leta, Brave Search 혹은 Surfshark Search 같은게 있죠. 처음 출시때는 나름 뭔가 있어보였지만 누가 사용이나 하나요. 마이크로소프트의 Bing도 힘을 못쓰고있는 이 시장에 도전은 멋있었지만.. 사이버트럭이랑 박치기하는 수준이었습니다. duckduckgo가 2008년도부터 검색 엔진 하나만 죽어라 노력해서 대단한 성과를 이루었는데 그것마저도 전세계 점유율 1%도 안되거든요.

다시 AI 이야기로 돌아가서..

ChatGPT, Gemini, Claude, Perplexity, Copilot, Grok 거기다 아마존까지 가세.. 대형 플레이어만 보더라도 Proton 규모로 어떻게 비벼볼 수준이 아닌 것 같은데.. Deepseek에게도 다가서기 힘들 것으로 보이는 프로톤의 고양이 Lumo가 앞으로 어떻게 경쟁할지 궁금해집니다.

프로톤AI Lumo 특징

  • 고스트 모드: Lumo의 대화 내용은 기본적으로 종단 간 암호화되어 채팅 기록에 저장되지만, 고스트 모드를 활성화하면 현재 채팅을 닫는 즉시 채팅 내용이 영구적으로 사라집니다.
  • 웹 검색: 웹에서 새 정보나 최신 정보를 검색하여 답변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 안전한 파일 업로드: 업로드한 파일,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저장하지 않습니다.
  • Proton Drive 통합: Proton Drive에서 종단 간 암호화된 파일을 채팅에 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경쟁사 AI와 비교

lumo AI 특징, 보안 비교 gemini, copilot, openai(chatGPT), deepseek
  • AI를 훈련하기 위해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 모든 채팅 기록을 삭제합니다.
  • 누구와도 데이터를 공유할 수 없습니다.
  • 광고 없는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가 엄격한 관할권에 기반을 두고 있음.
  • 소스 코드를 대중에게 공개합니다.

여기서 짜치는 것은 deepseek까지 넣어놓고 비교 대상에서 Claude를 뺐다는 것.

왜냐하면 Claude가 들어가면 lumo가 돋보이지 않거든요. Claude 역시 세부적으로 약간의 차이는 있겠으나, 6개 항목중에 위의 4개는 해당될거고 5번째 관할권은 최근 스위스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을 보면 나중에 저 항목이 삭제될지도 모르겠습니다.

결국 남는 것은 오픈소스 하나 뿐인데…

지불 가치가 있는 오픈소스 AI인가?

당연히 오픈소스는 무조건 환영이죠. 하지만 [저성능 OpenSource AI] vs [고성능 Closed Source AI] 둘 중에 내 돈 내고 사용하라면 저는 무조건 후자입니다. 여러분은 어떠세요?

누군가는 살짝 반감을 느낄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생각했을 때 내가 사용하는 AI 서비스가 오픈소스냐 아니냐가 현 시점에서 정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지는 의문입니다. OpenAI-ChatGPT, Google-Gemini, Anthropic-Claude 셋에 무료 가입자 뿐 아니라 유료 가입자가 거의 대부분 몰려있는 것은 오로지 내 질문에 대한 결과값이 좋기 때문입니다.

물론 비슷한 결과치를 제공하고, 가격도 비슷하다면 그 중에 프라이버시 친화적인 서비스를 선택하겠죠.

프로톤AI lumo 가격 protonAI 가성비 성능
프로톤AI lumo 가격

오픈소스가 중요하지 않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프로톤AI Lumo Plus 가격이 월 9.99 유로(거의 월 16000원) 입니다. 저렴하진 않은 가격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정확하게 내가 돈을 지불하는 목적이 그만큼 가치있는 것인지 알고 써야하기 때문입니다. 너무 오픈소스 호소 마케팅으로 가는 것 같아서 제 생각을 써본 것입니다. 물론 비집고 들어갈 수 있는 유일한 틈새이기 때문이겠지만요.

저의 블로그 핵심 콘텐츠인 VPN의 경우엔 투명성이 매우매우 중요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기업으로부터 검증된 No Log 시스템이 가장 중요한 이유는, 회사가 나쁜 마음을 먹으면 서버에 내 민감한 개인정보와 사생활이 그대로 기록되거나 판매될 수 있는 것은 과거 사례들로 이미 학습되었고, 저장된 Log가 수사기관에 제공되어 나를 특정해 직접적인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결국 나를 특정하고 나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느냐가 많은 요소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거라고 생각합니다.

일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윈도우,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포토샵, macOS(맥), iOS(아이폰), 틱톡, 인스타그램 등 모두 오픈소스가 아닙니다. 오픈소스인 리눅스, 리브레 오피스 등이 훨씬 안전하지만 사용자가 적은 것이 현실이죠.

AI 서비스에서 오픈소스가 얼마나 매력있고 비중있는 요소인지 이야기하려다 여기까지 왔는데…

메이저 AI 서비스의 경우엔 내가 개인정보, 기밀 등의 민감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입력하지 않는 이상 직접적인 위험성은 없습니다. Gemini 개인정보 정책 알아보기를 읽어보시면 기본적으로 [채팅 내용]과 [유저 계정 정보]는 분리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내 질문과 대화가 나와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면서 크게 의식되진 않아요. 물론 미래의 스카이넷 형님은 저를 알아보실수도 있습니다.

Lumo 성능, 메이저 절반은 따라갈 수 있을까

AI에 있어서 오픈소스에 너무 큰 환상을 가질 필요는 없는 것 같아서 위 부분을 조금 길게 썼습니다.

물론 프로톤AI의 결과물이 ChatGPT, Gemini의 70% 정도만 되어준다면 사용할 생각이 조금 생기겠지만.. 비전문가인 제가 생각했을때 물리적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ChatGPT가 압도적인 1위고 그 뒤에 Gemini가 빠르게 추격.. 거기다 메타(Meta)는 돈을 뿌려가면서 AI 인력들을 끌어모으고 있습니다. 스케일AI에 19조원대 투자를 단행하면서 알렉산더 왕을 Meta 인공지능 총괄(CAIO: Chief AI Officer)로 앉히는 등 매우 공격적이고 파격적인 모습을 보이고있죠. 이렇듯 초거대 기업들이 죽어라 경쟁하는 판 입니다.

AI 경쟁은 ‘쩐의 전쟁’

메이저 AI 플랫폼 중에서 규모가 작은 편인 Anthropic Claude가 2025년 3월에 시리즈E 라운드에서 35억달러 투자 유치를 받았고, 하반기에 30억달러에서 50억달러의 신규 투자를 유치할 예정이라는 기사를 봤습니다.

2025년 한해만 수 조원 단위로 추가 투자받아서 돈을 쏟아붓는데 2025년 기준 상반기 월간 활성 이용자(MAU)는 1,600만~1,800만명 정도라고 합니다. 전체 투자 금액이 십 수 조원은 넘을 이 회사도 시장 전체 점유율 3%대로 보고있습니다.

VPN 시장에서도 꽤 힘겨운 싸움을 이어가고 있고 매출이나 순수익 규모가 작은 편인 프로톤의 AI 사업 확장은 좀 무리수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2024년 Proton AG $97.5M revenue(매출)라고 나오는데 정확한 데이터인지는 모르겠으나 그렇다는 가정하에 작년 매출이 1300억원대, 여기에서 순수익은 얼마인지 알 수 없지만 300억 정도를 벌었다고 가정하더라도 기존 서비스에 어느정도 재투자하고 나머지 AI 인프라에 투자할텐데 업계에서는 매우매우 작은 수준입니다. (* Proton 고객 대응, 즉 CS 수준이나 개발 속도 등을 봤을때 돈을 많이 버는 기업으로 보이진 않아요.)

긍정적으로 보면 아름다운 도전이라고 볼 수 있겠죠.

참고로 네이버 2024년 1분기(1월-3월) 시설 투자(CAPEX) 금액이 2047억이고 이 중에서 서버 및 비품 투자가 1852억입니다. 네이버 관계자는 검색, 커머스, AI 등 주요 사업을 위해 GPU, CPU 인프라 투자를 늘렸다고 이야기 했고, 올해 시설 투자 예상 금액이 8천억 정도로 예상된다는 글도 있는데 우리가 네이버 CLOVA 비웃지만 투자 금액이 꽤 큽니다. 물론 미국 기업에 비하면 귀여운 수준이지만요.

왜 이렇게 아쉬워해?

저는 Proton이 VPN 가성비에 더 집중해서 Top3를 견제 할 수 있는 경쟁사로 성장하길 바랬던 마음이있었고 내심 응원 했습니다. 시장이 너무 한쪽으로만 기울면 길게 봤을때 소비자에게는 좋을게 없기 때문이죠. 그래서인지 AI 사업 확장과 결과물을 보고 조금 아쉬운 마음이 컸던 것 같습니다.

ProtonMail 수익 모델이 어정쩡해서 브랜드 이미지에 적합한 VPN 사업까지 확장하고 여기까지 온 것은 매우 적절했고 SimpleLogin 인수까지는 딱 좋았는데, Proton Wallet 같이 비핵심 영역의 사업들을 일단 벌이고 보는 것 같아서 응원하는 입장에서 조금 아쉽습니다. 기대했던 Standard Notes 인수도 docs 기능 하나로 끝나는건가 싶기도 하고요.

Lumo 무료 버전 성능

간단하게 재미로 몇가지 질문을 던져보고 ChatGPT 무료 버전과 비교해봤습니다.

아무거나 떠오르는 것을 먼저 질문해봅니다. ChatGPT는 무료 버전이지만 뻘 질문에도 매우 상세하고 길게 알려주며, 응급조치에 관한 실용적인 정보까지 알려줍니다.

lumo는 대답 안해줍니다.ㅜ

자외선 차단제와 양산(우산) 자외선 차단 효과에 대해서 물어봤는데 이 부분은 나름 읽을만한 정보를 내어줬습니다. ChatGPT 답변 캡쳐는 길어서 일부만했어요. 훨씬 보기좋게 더 잘 알려줍니다.

ChatGPT 무료 버전이 대학생이라면, lumo 무료 버전은 노트 정리 잘하는 중학생 느낌.

K팝 걸그룹 순위를 물어봤더니 답변 퀄리티 차이가 매우 크기도 하지만, 한글로 물어봤는데 영어로 알려줌.

의약품에 대해서 검색했더니 별것도 아닌데 안알려줍니다. 물론 GPT는 매우 상세하게 잘 알려주었고요.

lumo 유료 버전은 더 나은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지만 무료 버전에서 뭔가 가능성이라도 느끼게 해줘야 월 16000원 정도의 거금을 쓰지 않을까요.

출시 초반이라 한참 더 지켜봐야겠지만 현재로서는 lumo를 결제할 마음은 생기지 않는 것 같습니다. 혹시 유료 버전을 사용해본 용자분이 계신다면 댓글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남기기